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03 TypeScript와 ES6로 Enum처럼 코드 집합 관리하기: 공통 메서드와 타입 안전성 JavaScript(ES6)와 TypeScript를 사용하다 보면 Java의 enum처럼 상수 집합을 관리하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특히 code와 label 같은 속성을 가진 객체를 여러 개 정의하고, 공통 메서드(예: findByCode)를 추가하면서도 타입 안전성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React 환경에서 발생한 에러를 해결하며 찾은 최적의 방법을 공유합니다. 문제 상황: React와 TypeScript에서 코드 집합 사용하기class Code { constructor(public code: string, public label: string) {} getCode() { return this.code; } getLabel() { return this.label; }}.. 2025. 3. 4. tiptap 에디터 focus border 없애기, 영역 클릭시 focus 하기 1) focus border 없애기 에디터 영역을 잡아주려다 보면 겉에 border 로 영역을 잡는데, 이때 tiptap 을 사용하면 다음처럼 텍스트 입력영역에 border가 또 활성화 된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화면이다. 회색영역은 아무런 활성화가 안되었을때 '여기가 입력칸'이라고 보여주는 곳이고, 실제로 클릭하면 푸른색 border 가 활성화된다. 이 부분이 이전에는 이런식으로 스타일 되었다. 참고로 사용하는 스타일은 tailwindcss 이다 그래서 tiptap에서 포커스 될때 주는 css를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css에 추가했다..editor{ .ProseMirror:focus { outline: none !important; border.. 2025. 3. 3. 스프링 의존성(Dependency)이란? 초보자를 위한 쉬운 설명 스프링(Spring)을 공부하다보면 의존성(Dependency)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쉽게 풀어서 설명해보려 한다. 1. 의존성이란?"A가 B를 필요로 한다" > 이것이 바로 의존성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만든다고 생각해보자.자동차에는 엔진, 바퀴, 핸들 같은 부품들이 필요하다.즉, 자동차에는 엔진과 바퀴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코드에서도 마찬가지다.어떤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사용해야 할때 "의존성이 있다"라고 한다. 2. 스프링에서 의존성 관리하기스프링에서는 이 의존성을 어떻게 관리할까? 직접 만드는 방식(안좋은 방법)class Car { Engine engine = new Engine(); // 직접 객체를 생성함} 이렇게 Car 안에 Eng.. 2025. 3. 1. Junit 5 Jupiter vs AssertJ 테스트하는데 어떤걸 쓰면 좋을까? JUnit 5 Jupiter와 AssertJ를 언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게 나은지 고민하는 건 테스트 코드를 더 효율적이고 읽기 쉽게 만들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둘 다 Java 테스트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목적과 강점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래에서 두 도구의 특징과 언제 어떤 걸 쓰는 게 좋은지 정리해 보았다. JUnit 5 Jupiter란?JUnit 5는 JUnit 프레임워크의 최신 버전으로, 테스트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전체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다. Jupiter 는 JUnit 5의 핵심 모듈 중 하나로, 테스트 케이스를 정의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API와 기능을 담고 있다.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 @Test, @BeforeEa.. 2025. 2. 28. 스프링 프레임워크 탄생 이야기 왜 스프링인가?이번글은 자바 개발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스프링(Spring)"이다. 대체 무엇이기에 전 세계 개발자들이 열광하는 것일까? 오늘은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어떻게 태어났는지, 그 여정을 함께 따라가 본다. 스프링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개발 문화를 바꾼 혁신이다. 스프링 이전의 자바 세계스프링이 등장하기 전, 2000년대 초반 자바 개발은 고단한 일이다. 당시 주류였던 EJB(Enterprise JavaBeans)는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에 강력했지만 무겁고 복잡하다. XML 설정 파일은 끝없이 길어지고, 개발자들은 코드 작성보다 설정에 더 많은 시간을 쏟는다. "이렇게 복잡할 필요가 있는가?"라는 불만이 쌓여가던 시기다. 더 가볍고 유연한 대안이 필요하다. 스프링의 시작: 로드 존슨.. 2025. 2. 27. [JAVA] GET에다가 body 값 보내기(비표준 연동, RestTemplate) 종종 HTTP 규격에 어긋난 형태의 API를 보게되는데, 외부 연동을 RestTemplate 로 간단하게 하는 상황에서 이런경우를 겪는다면 당황스럽다. 그래도 외부 서버다보니 내가 수정할 수 없어 해결을 해야하는 상황이 오는데,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었다. curl 로 전송할때 이런 상황인데curl -k -X GET -d '{"sdt":"2025-02-05","edt":"2025-02- 15","list":[{"id":"00217"},{"id":"00005"}]}'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 'Authorization: server-key-auth' http://test.co.kr/manage/history 본문 데이터에서 -d로 JSON 데.. 2025. 2. 27. 이전 1 2 3 4 5 ··· 6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