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03 [react, nextjs] pwa 적용 후 console.log 에 werkbox 없애기 pwa 를 적용하고 난 뒤부터 개발할때 console.log 를 보면 엄청난 양의 workbox가 뜬다. 이것을 안보이게 하는 것은 간단하다. 일단 next.confing.js 파일을 연다. 아마 아래와 비슷하게 설정되어 있거나, 추가되어 있을 것이다. /** @type {import('next').NextConfig} */ const withPWA = require("next-pwa") module.exports = withPWA({ pwa: { dest: 'public' } , reactStrictMode: true, }) 여기서 개발일 경우에만 disable 할 수 있게 옵션을 주면 된다. /** @type {import('next').NextConfig} */ const withPWA = requ.. 2022. 8. 12. 2022년 상반기 회고록 늘 그렇든 이벤트도, 변화도 많지만 이번만큼 큰 변화가 있었던 적이 얼마 만인가 싶을 정도로 컸다. 그 내용들을 여기 기록해 본다. 1. 이직 몇 년 동안 알고 지낸 사이의 대표에게서 이직 제안이 왔었다. 사실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몇 차례 왔음에도 불구하고 거절을 했었는데, 그때까지만 해도 이전 회사에서 좀 더 할 게 있을 거라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고 다시금 요청이 왔을 때는 이제 더 이상 이전 회사에 있을 이유가 없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딱히 신변에 변화가 있거나 불이익을 당하거나 하진 않았지만 회사를 떠날 순간이 왔다는 걸 어렴풋이 느끼곤 있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였다. 성장과 방향성이다. 처음 이전 회사를 선택했을 당시 원했던 것이 몇 가지 있었다. 여기서 말하는 원하.. 2022. 7. 21. [springboot] (GCP) 엘라스틱서치(elastic search)와 연동하기 엘라스틱서치를 직접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번 회사에서 이슈가 있어 Elastic Cloud를 사용하기로 했다. 별도로 설치 및 관리하는것보다 관리되어있는 것을 사용하는게 더 낫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내 경우 GCP를 이용한 Elastic Cloud를 이용하는 것을 했지만 Elastic Cloud에 직접 회원가입해서 사용한것도 가능할것 같다. 다만 여기서는 GCP를 이용했으니 그에따른 경과를 기록한다. 이 포스팅은 다음 순서로 진행된다. - GCP에서 엘라스틱서치 사용하기 - SpringBoot 에 elastic search 연동 - SpringBoot 에서 elastic search 조회하기 - SpringBoot 에서 elastic search bulk 하기 그럼 시작. GCP에 ela.. 2022. 7. 19. [querydsl] Unable to load class 'com.mysema.codegen.model.Type' 에러 QueryDSL 을 사용하는데 어느날부터 다음 에러가 발생한다. Unable to load class 'com.mysema.codegen.model.Type'. This is an unexpected error. Please file a bug containing the idea.log file. 이유를 살펴보니 버전문제가 있는거 같다. 최근에 변경된 이슈라면 SprigBoot 의 버전을 2.4 -> 2.6 으로 올리면서 hibernate의 버전도 같이 올라갔다. 여기까지는 별 문제 안됐는데 컴파일 또는 queryDsl을 컴파일 하는 과정에서 위의 에러가 발생한 것이다. 그래서 살펴보니 Querydsl 의 버전이 문제인거 같다. 이전까지만 해도 버전을 명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의존되는 버전이 연결되서 사.. 2022. 7. 14. [GCP] 로드밸런싱(부하분산) 설정 + SSL 인증서 공짜로 받기 해당 포스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가지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인증서는 부하분산(로드밸런싱) 구성요소에서만 구성가능하다. -> 로드밸런싱에만 사용할 수 있다 DNS에 부하분산에 등록된 IP를 고정으로 바꿔두어야 한다 우선 부하분산을 설정해보도록 하기 위해 사전에 필요한 것이 있다. 연결할 VM 이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이미 설정해두었다.(링크 참고) [GCP] 외부에서 구매한 도메인 등록 & VM IP에 연결(https://lemontia.tistory.com/1074) 인스턴스 그룹을 만든다. 인스턴스 그룹을 만드는 이유는 서로 다른 인스턴스간에 그룹으로 묶기 위해서다. 이 설정을 통해 Auto Scaling도 가능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선 Auto Scaling은 제외한 방식으로.. 2022. 7. 11. [GCP] 외부에서 구매한 도메인 등록 & VM IP에 연결 우선 이것을 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간단한 웹서비스 실행 도메인 구매 사이트 & 네임서버 변경 등이다. 우선 DNS를 설정하는 방법부터 확인해보는게 좋겠다. 외부 도메인에 네임서버를 GCP로 변경 GCP에 접속한뒤 네트워크 서비스 > Cloud DNS 메뉴에 들어간 뒤, 영역만들기로 하나 생성한다. - 영역이름은 고유하게 만들면 된다. - DNS 이름은 도메인 이름을 넣는다 - DNSSEC는 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s 라는 의미로 이름조회에 대한 응답을 인증하는 기능이다. 공격자가 DNS요청에 대한 응답을 조작 또는 악성 처리하는 것을 방지한다고 되어있는데, 자세한건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해보는게 좋을거 같다. 기본값이.. 2022. 7. 8. 이전 1 ··· 3 4 5 6 7 8 9 ··· 68 다음 반응형